728x90
반응형
🔥 2025 산불 대응 지역 예산 집행 현황 총정리|산림청·소방청·지자체 예산 분석
안녕하세요, 앗뜨입니다 :)
2025년 봄, 강원·경북을 중심으로 대형 산불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정부와 지자체의 산불 대응 예산 현황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산불 관련 예산이 실제로 얼마나 편성되고 집행되고 있는지,
산림청·소방청·지자체의 예산 구조를 정리해 알려드릴게요.
🌲 산림청 산불방지 예산 현황
산불방지대책 예산 | 약 578억 6,900만 원 | 7.3% 감소 |
산림헬기 운영 및 도입 | 938억 5,800만 원 | 16.4% 감소 |
🔍 2025년 산림청 산불 예산은 전반적으로 삭감되었습니다.
📌 주요 쟁점
- 국회 상임위에서는 증액 논의가 있었으나,
정부안 그대로 통과되며 감액 편성 - 산불 발생이 증가하는 시점에서의 예산 삭감은 정책적 우려로 이어지고 있음
🚒 소방청 산불 장비 예산 현황
- 2021년 기준 전체 예산: 2조 208억 원 중
➤ 산불전문진화차 보강 예산: 약 38억 원 (전체의 약 1.7%)
💡 소방청은 산불 대응에 있어 보조기관으로 제한적인 역할
전담 예산은 부족하며, 장비 보강 역시 미흡한 상황
🏛️ 지자체 대응 및 예산 집행 방향
- 산불이 자주 발생하는 강원, 경북, 경남 등 지역에서는
산림청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지자체 주도의 대응 역량 강화 필요성 제기
🧯 산불재난특수진화대 확대 논의
목적 | 지자체에 전문 진화 인력 상시 배치 |
효과 | 산림청에 의존하지 않고 초기 대응력 강화 |
과제 | 예산 증액, 인력 충원 필요 |
→ 지방정부와 중앙정부 간 협의 필요 |
정부 예산 제안 시스템(mybudget.go.kr)에도 관련 건의 다수 접수됨
🧾 마무리 요약
산림청 예산 | 산불방지·헬기 운영 예산 모두 감소 추세 |
소방청 예산 | 산불 전용 장비 예산 매우 제한적 |
지자체 방향 | 산불 전문 진화대 설치 논의 중, 예산 부족은 여전 |
개선 과제 | 중앙-지방 협력 구조 + 예산 증액 필요성 대두 |
산불은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닌 예측 가능한 반복적 재난입니다.
예산이 뒷받침되지 않는 대응 체계는 한계가 분명한 만큼,
지속적이고 실효성 있는 예산 구조 개선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728x90
반응형
'모든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불 피해 긴급재난지원금, 경북 5개 시군 주민 1인당 30만원 지급 결정 (0) | 2025.03.28 |
---|---|
안전디딤돌 앱 기능 및 장점 총정리|국민 재난안전 앱 필수템 (0) | 2025.03.27 |
봄소풍 도시락 구성 예시 (0) | 2025.03.27 |
따뜻한 봄, A형 간염 주의보! 증상과 예방접종으로 건강 지키기 (0) | 2025.03.27 |
2025 롯데마트 땡큐절 행사 총정리|한우 반값·대게 특가·일일딜까지! (0) | 2025.03.26 |